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슈36

불만제로(20090319), "공짜 드링크의 비밀" 편을 보고.. 불만제로(20090319), "공짜 드링크의 비밀" 편을 보고.. "불만제로".. 프로그램 자체가 꽤 유익하고, 볼만하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워낙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요즘 세상이다보니 굳이 이런 것들 아니라도 머리 아픈 일들이 천지인데, 방송을 일부러 챙겨가면서까지 볼 이유야 뭐가 있겠나 싶어서, 최근들어 조금은 의도적으로 시청을 자제해왔던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이번 주 방송은 동시간대에 방송된 KBS2 TV의 오락 프로그램이 별 재미가 없길래, 이리저리 채널을 돌리다가, 결국은 보게 되었는데요.;; 결론부터 적고 보자면, 짜증과 분노는 치밀어 올랐지만, 이 방송을 보길 잘했다 싶었습니다. 주제는 "공짜 드링크의 비밀".. 왠지, 제목부터가 내용을 궁금하게 만들지 않습니까? 그래서, 방송을 봤습니.. 2009. 3. 20.
안전불감증이 빚은 참사, 창녕 화왕산 억새 태우기 현장 화재 사고.. 안전불감증이 빚은 참사, 창녕 화왕산 억새 태우기 현장 화재 사고.. 어제는, 정월대보름.. 때문에, 각 지역마다 이런저런 행사들이 다채롭게 펼쳐진 날이었습니다. 그리고, 인명 사고가 발생한 창녕의 화왕산에서도 억새 태우기 행사가 있었다고 합니다. 예부터 이맘 때에 새로운 한 해의 농사를 위해 논밭에 불을 놓는 풍습이 있던 것을, 요즈음 각 지자체에서 그와 유사한 행사로 만들어 나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사건.. 아무리 생각해도, 말도 안되는 일이 일어났다 싶습니다. 1. 일단, 올해처럼 겨울 가뭄이 극심한 이때에, 단지 3년마다 한번씩 있던 행사를 할 때가 돌아왔다는 이유만으로 이번 일을 기어이 추진했어야 옳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만약, 다행스럽게도 어제의 사고와 같이 우려할만한 일이 발생하지.. 2009. 2. 10.
37문 37답, 음악문답 바톤놀이..^^ 37문 37답, 음악문답 바톤놀이..^^ 요즘, 다시 바톤놀이가 블로그 상에 도나 봅니다.^^ 명이님네에 놀러 갔더니, 음악문답 바톤이 포스팅되어 있더라구요. 근래, 한동안 블로그에 새글을 올리지 못한 터라 마음만 급했었는데, 막상 손을 대려니 어디서부터 블로깅을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더니, 딱 되었다 싶더라구요.^^ 해서, 업어왔습니다.ㅎㅎ 그럼, 잡학소식의 37문 37답, 음악문답 바톤놀이... 시작합니다~~~^^ 1. 음악을 좋아 하나요? 넵..^^ 덧붙이자면, 예능을 비롯한 모든 조기 교육과 사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란지라;;;, 클래식 음악과는 담을 쌓고 살았으며, 현재도 여전히 그런 상태구요, 영어도 그다지 친한 편이 아닌지라, 팝송의 경우도 올드팝 몇 곡과 정말 좋다 싶은 곡 몇 곡 정도만 듣는.. 2008. 12. 17.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달라. 좋은나라 운동본부(20080903) "조우종의 식`권 사수" 편 불만제로(20080904) "소비자가 기가 막혀-빵집의 비밀"편을 보고.. 지난 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음식관련 고발 프로그램이 줄을 잇네요. 어제는 KBS 좋은나라 운동본부에서, 이른바 맛집으로 소문난 식당들을 찾아 다니면서 위생실태를 살펴봤었는데요. 방송 보면서 진짜 보면서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한편, 오늘은 MBC 불만제로에서 빵집의 유통기한 위반에 대한 실태를 고발하는 방송을 했는데요. 지난 주 방송에서는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식품이 비위생적으로 생산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식당에서 재활용 음식을 손님에게 제공한다는 사실을 지적해서 소비자들을 경악케하더니, 이번 주에는 방송에서 맛집으로 소개된 식당에 득시글거리고 있는 바퀴벌레와 온.. 2008. 9. 5.
깨끗한 음식을 먹을 권리, 소비자에게 있습니다. 깨끗한 음식을 먹을 권리, 소비자에게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먹고 삽시다" 편과, "안전한 식품을 고르는 법, HACCP를 확인하자" 편에서 이어집니다. 또한 연이어 세 개의 글을 포스팅한다고 정작 본방송은 못보게 되었지만, 어쨌든 이번 주 '이영돈PD의 소비자고발의 주제'와도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사실, 이 주제와 관련해서는 "대중음식점 유감"이라는 제목으로, 발행은 하지 않았지만 이전에 끄적여둔 글이 있었구요. 해서 조금 정리하는 선에서 여기에 옮겨두고자 하는데요. 일단 제가 그 글을 이제껏 발행하지 않았던 이유는 조금 적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솔직히, 이 문제는 제가 봤을 때는 충분히 심각하다 싶은 것이었는데요. 언젠가 또다른 이가 위의 주제와 .. 2008. 8. 30.
안전한 식품을 고르는 법, HACCP 마크를 확인하세요.^^ 안전한 식품을 고르는 법, HACCP 마크를 확인하세요.^^ 먹고 삽시다 편에 연결된 이번 포스트에서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식품과 관련'한 글이 되겠습니다. 1. 혹시,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식품을 드셔야 하나요? 하긴, 질문 자체가 잘못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솔직히 요즘 세상에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식품(쉽게 보자면, 두부와 콩나물부터가 공장산이지요) 모두를 거부하면서 사람이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것인데, 이런 질문을 던졌으니 말입니다. 결국, 보통의 사람들이라면 공장산 식품을 사서 먹을 수 밖에 없을텐데요, 문제는 각종 매체에서 보여주는 이들 식품 공장의 위생상태가 사뭇 심각한 지경인 경우가 많더라는 것이죠. 그렇다면,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식품 위생으로부터 그나마 조금이라도 더 안전하달 수.. 2008. 8. 30.
반응형